Logo

Kth Smallest Element in a BST

LeetCode의 230번째 문제인 Kth Smallest Element in a BST를 함께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이진 탐색 트리의 최상위 노드 root가 주어졌을 때, 트리의 모든 노드 값 중에서 k 번째로 작은 값을 반환하시오. (인덱스를 0이 아닌 1부터 시작)

예제 1

  • 입력
  3
 / \
1   4
 \
  2

k = 1
  • 출력
1

예제 2

  • 입력
    5
   / \
  3   6
    /  \
   2    4
  /
 1
  • 출력
3

풀이 1: Sort

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단순 무식한 방법은 모든 노드의 값을 오름 차순으로 정렬 후에 k 번째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정렬을 위해서는 먼저 주어진 트리를 순회하면서 배열(Array)에 모든 노드의 값을 저장해야 합니다.

트리를 어떤 방식으로 순회하는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차피 마지막에 전체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야 하니까요.

그럼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전위(pre-order) 순회를 사용하여 이 알고리즘을 구현해보겠습니다.

트리를 순회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별도의 글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class Solution:
    def kthSmallest(self, root: Optional[TreeNode], k: int) -> int:
        values = []

        def dfs(node):
            if not node:
                return

            values.append(node.val)

            dfs(node.left)
            dfs(node.right)

        dfs(root)

        return sorted(values)[k - 1]

입력 트리를 이루고 있는 노드의 개수를 n라고 했을 때, 배열에 모든 노드으 값을 저장하므로 공간 복잡도는 O(n)입니다. 반면에는 트리를 순회하는데 O(n)의 시간이 걸리지만, 배열을 정렬하는데 O(n * logn)의 시간이 걸리므로, 시간 복잡도는 O(n) + O(n * logn) = O(n * logn)이 됩니다.

풀이 2: Heap

k번째로 작은 노드의 값을 구하는데, 반드시 모든 노드의 값을 정렬해야할까요? 입력 트리에 노드가 많고, k가 작다면 배우 비효율적일 것입니다.

이럴 때는 힙(Heap) 자료구조를 활용하면 딱인데요. 최대 힙(Heap)을 사용해서 최소 k개의 원소만 구할 수가 있습니다.

기본 아이디어는 트리를 순회하면서 최대 힙에 값을 추가하다가, k개가 초과하면 최대 힙으로 부터 최대 값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트리 순회를 마쳤을 때, 최대 힙에는 최소 첫 번째 작은 값보다 k 번째 작은 값만 남게 됩니다.

두 번째 예제의 트리를 상대로 전위(pre-order) 순회를 했을 때, 각 노드에서 힙에 어떤 값이 들어가고 나오는지를 나타내보겠습니다.

push 5
[5]
push 3
[5, 3]
push 6
[5, 3, 6]
push 2, pop 6
[5, 3, 2]
push 4, pop 5
[3, 2, 4]
push 1, pop 4
[3, 2, 1]

이 알고리즘을 파이썬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최소 힙으로 최대 힙 효과를 내려고 노드의 값을 일부로 음수로 변환 후에 힙에 저장하는 점에 주의하세요.

from heapq import heappush, heappop

class Solution:
    def kthSmallest(self, root: Optional[TreeNode], k: int) -> int:
        heap = []

        def dfs(node):
            if not node:
                return

            heappush(heap, -node.val)
            if len(heap) > k:
                heappop(heap)

            dfs(node.left)
            dfs(node.right)

        dfs(root)

        return -heap[0]

재귀 함수를 n번 호출하고, 재귀 함수 안에서 힙에 값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데 log(k)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 풀이의 시간 복잡도는 O(n * logk)입니다. 반면에 공간 복잡도는 힙에 최대 k개의 값이 저장되고, 재귀 함수의 호출 스택이 트리의 노드 수에 비례해서 깊어지므로, O(n + k)가 됩니다.

풀이 3: In-order Traversal

문제를 잘 읽어보시면 입력 트리는 그냥 이진 트리가 아니라 이진 탐색 트리인데요. 위 두 풀이에서는 이 사실을 전혀 활용하지 못했습니다.

이진 탐색 트리는 중위(in-order) 순회를 하면 오름 차순으로 노드에 접근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 트리를 중위(in-order) 순회를 하면서 노드 값을 배열에 저장하면 자연스럽게 배열은 정렬이 됩니다.

예를 들어, 두 번째 예제의 트리를 상대로 중위 순회를 해보면 다음과 같은 배열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1, 2, 3, 4, 5, 6]

k가 3이니, 인덱스가 2에 저장된 값이 우리가 찾는 값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알고리즘을 파이썬으로 구현해볼까요?

class Solution:
    def kthSmallest(self, root: Optional[TreeNode], k: int) -> int:
        values = []

        def dfs(node):
            if not node:
                return
            dfs(node.left)
            values.append(node.val)
            dfs(node.right)

        dfs(root)
        return values[k - 1]

이 풀이의 복잡도는 시간과 공간 측면에서 모두 O(n)입니다. 단순히 모든 노드에 한 번씩 접근하고, 배열은 노드의 수에 비례해서 커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