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Merge Two Sorted Lists

LeetCode의 Merge Two Sorted Lists 문제를 함께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두 개의 정렬된 링크드 리스트를 병합하라. 병합된 링크드 리스트는 두 개의 링크드 리스트를 꼬아놓은 형태로 만들어져야 하고 역시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예시

Input: 1->2->4, 1->3->4
Output: 1->1->2->3->4->4

풀이 1

주어진 링크드가 정렬이 되어 있으므로 head에는 가장 작은 노드가 있고, tail에는 가장 큰 노드가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병합된 링크드 리스트의 head에는 두 개의 head 중에 더 작은 노드가 위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2->5, 3->4->5를 병합한다고 생각을 해보면, 병합된 링크드 리스트는 1로 시작해야합니다. 그럼 2->53->4->5가 남습니다. 이 두개의 링크드 리스트의 head를 비교하면 병합된 리스트에 2가 다음으로 와야 합니다.

1->2

그 다음에는 53->4->5가 남습니다. 이번에는 3이 더 작으므로 이 값이 병합된 리스트에 다음으로 와야 합니다.

1->2->3

그 다음에는 54->5남 습니다. 이번에는 4가 더 작으므로 이 값이 병합된 리스트에 다음으로 옵니다.

1->2->3->4

이제는 55가 남는데, 이 두 값은 크기가 동일하므로 어던 값이 다음으로 나와도 무방합니다.

1->2->3->4->5->5

위 사고 과정을 관찰해보면, 주어진 링크드 리스트는 점점 짧아지면서 병합된 리스트각 만들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 단계에서 짧아진 입력 리스트를 대상으로 같은 로직을 반복하고 있으므로 재귀 알고리즘으로 구현할 수 있겠습니다.

재귀 알고리즘의 기저 사례(base case)는 둘 중에 하나의 링크트의 길이가 0이 되는 것입니다.

이 알고리즘을 파이썬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 Definition for singly-linked list.
# class ListNode:
#     def __init__(self, val=0, next=None):
#         self.val = val
#         self.next = next

class Solution:
    def mergeTwoLists(
        self, list1: Optional[ListNode], list2: Optional[ListNode]
    ) -> Optional[ListNode]:
        if not (list1 and list2):
            return list1 or list2

        if list1.val < list2.val:
            list1.next = self.mergeTwoLists(list1.next, list2)
            return list1
        else:
            list2.next = self.mergeTwoLists(list1, list2.next)
            return list2

같은 알고리즘을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 Definition for singly-linked list.
 * class ListNode {
 *     val: number
 *     next: ListNode | null
 *     constructor(val?: number, next?: ListNode | null) {
 *         this.val = (val===undefined ? 0 : val)
 *         this.next = (next===undefined ? null : next)
 *     }
 * }
 */

function mergeTwoLists(
  list1: ListNode | null,
  list2: ListNode | null,
): ListNode | null {
  if (!(list1 && list2)) return list1 || list2;
  if (list1.val < list2.val) {
    list1.next = mergeTwoLists(list1.next, list2);
    return list1;
  } else {
    list2.next = mergeTwoLists(list1, list2.next);
    return list2;
  }
}

동일한 알고리즘을 자바로도 구현해보았습니다.

/**
 * Definition for singly-linked list.
 * public class ListNode {
 *     int val;
 *     ListNode next;
 *     ListNode(int x) { val = x; }
 * }
 */

class Solution {
    public ListNode mergeTwoLists(ListNode l1, ListNode l2) {
        if (l1 == null || l2 == null)
            return l1 != null ? l1 : l2;
        if (l1.val < l2.val) {
            l1.next = mergeTwoLists(l1.next, l2);
            return l1;
        } else {
            l2.next = mergeTwoLists(l1, l2.next);
            return l2;
        }
    }
}

mn을 2개의 주어진 링크드 리스트의 길이라고 했을 때 이 풀이는 O(m+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게 됩니다. 두 개의 링크드 리스트를 병합하려면 결국 모든 노드를 한 번씩 들려야하기 때문입니다.

공간 복잡도는 함수 호출 스택이 주어진 링크드 리스트의 길이에 비례해서 늘어나므로 O(m+n)이 됩니다.

풀이 2

이번에는 두 개의 포인터를 이용해서 반복적인(iterative) 방법으로 접근해볼까요?

아래와 같이 두 개의 링크드 리스트가 주어졌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최초에는 두 개의 포인터를 각 링크드 리스트의 헤드(head), 즉 첫 번째 노드를 가리키게 합니다.

1->2->5
^
3->4->5
^

이제 두 개의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노드의 값을 비교해서 작은 값을 담고 있는 노드를 병합 리스트에 추가하고 해당 노드를 가리키던 포인터를 다음으로 전진시킵니다. 이 과정을 두 개의 포인터가 주어진 링크드 리스트의 끝까지 이동할 때 까지 반복합니다.

1->2->5
   ^
3->4->5
^
병합 리스트: 1
1->2->5
      ^
3->4->5
^
병합 리스트: 1->2
1->2->5
      ^
3->4->5
   ^
병합 리스트: 1->2->3
1->2->5
      ^
3->4->5
      ^
병합 리스트: 1->2->3->4
1->2->5
        ^
3->4->5
      ^
병합 리스트: 1->2->3->4->5
1->2->5
        ^
3->4->5
        ^
병합 리스트: 1->2->3->4->5->5

두 개의 포인터 중 하나가 링크드 리스트에 끝에 다달으면 나머지 포인터는 구지 한 칸씩 진행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더 이상 비교할 대상이 없으므로 병합 리스트의 맨 뒤에 남은 리스트를 붙여주기만 하면 됩니다.

이 반복 알고리즘을 그대로 코드로 구현해볼까요?

class Solution:
    def mergeTwoLists(
        self, list1: Optional[ListNode], list2: Optional[ListNode]
    ) -> Optional[ListNode]:
        dummy = ListNode(None)
        node = dummy
        while list1 and list2:
            if list1.val < list2.val:
                node.next = list1
                list1 = list1.next
            else:
                node.next = list2
                list2 = list2.next
            node = node.next
        node.next = list1 or list2
        return dummy.next

같은 알고리즘을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unction mergeTwoLists(
  list1: ListNode | null,
  list2: ListNode | null,
): ListNode | null {
  if (!(list1 && list2)) return list1 || list2;
  if (list1.val < list2.val) {
    list1.next = mergeTwoLists(list1.next, list2);
    return list1;
  } else {
    list2.next = mergeTwoLists(list1, list2.next);
    return list2;
  }
}

동일한 알고리즘을 자바로도 구현해보았습니다.

class Solution {
    public ListNode mergeTwoLists(ListNode l1, ListNode l2) {
        ListNode dummy = new ListNode(-1);
        ListNode node = dummy;

        while (l1 != null && l2 != null) {
            if (l1.val < l2.val) {
                node.next = l1;
                l1 = l1.next;
            } else {
                node.next = l2;
                l2 = l2.next;
            }
            node = node.next;
        }

        node.next = l1 != null ? l1 : l2;
        return dummy.next;
    }
}

이 풀이의 시간 복잡도는 이전 재귀 알고리즘과 동일하게 O(m+n)이 됩니다. 반면에 공간 복잡도의 경우 더미(dummy) 노드 외에는 추가적인 메모리를 소모하지 않으므로 O(1)이 됩니다.

마치면서

재귀 알고리즘을 사용하느냐 반복 알고리즘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시간 복잡도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재귀 알고리즘의 경우 필연적으로 호출 스택이 추가 메모리를 사용하므로 공간 복잡도 측면에서는 반복 알고리즘으로 해결하는 것이 더 유리한 문제였습니다.